■ 진행 : 김정아 앵커,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신상엽 / 감염내과 전문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일상회복 2단계 전환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정은경 청장의 이야기 듣고 오셨는데요.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위중증 환자가 사흘 연속 최다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 신상엽 감염내과 전문의와 함께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[신상엽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일단 위중증환자 수 일주일 추이를 봐도 심상치 않고요. 지금 사흘째 최다를 기록하는 상황입니다. 단계적 일상회복 하면서 방역이 일부 풀어졌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상을 했던 부분이기는 한데요. 이 속도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 <br />[신상엽] <br />실제적으로 이번 주부터가 핼러윈하고 11월 1일부터 시작했던 단계적 일상회복의 확진자 수 규모 증가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시기거든요. 실제적으로 보면 지난주나 이번 주나 확진자 수 규모가 그렇게 대규모로 늘고 있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주 원래 방역당국의 발표를 보면 재생산지수가 1.2라고 하거든요. 그러면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시기를 세대기라고 하는데 3일에서 7일이거든요. 그러면 1000명이 3~7일이 되면 1200명이 되고 또 1200명이 3일에서 7일이 되면 1440명이 돼야 되는 그 정도 유행의 상황인데 생각보다는 지금 단계적 일상 회복 이후에 확진자 수 규모가 빠르게 늘고 있는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문제가 뭐냐면 확진자 수 규모는 규모인데 그 안에 질적인 부분들을 따져봤을 때 60대 이상의 어르신들, 특히 돌파감염자들이 지금 절반을 넘어가면서 그분들 가운데 위중증이나 사망으로 진행하는 부분들이 많아지면서 전체 유행의 규모는 천천히 늘고 있는데 지금 5일 전 위중증환자가 405명이었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오늘이 475명입니다. 지금 위중증환자 숫자가 빠르게 늘면서 실제적으로 위중증환자를 볼 수 있는 중환자 병상은 사실 굉장히 만들기가 어렵고 일부 대학병원급에서만 가능한 부분들이 많은데. <br /> <br />지금 그런 위중증환자 병상들이 빠르게 차오르고 있으면서 혹시라도 이게 지속됐을 때 위중증환자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들이 벌어지게 된다고 그러면 지금의 단계적 일상회복을 유지하기 어려운 그런 상황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지금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111214005854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